News

뉴욕타임스가 홍콩에서 짐 싸서 서울로 오는 이유

“한국은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굵직한 몇몇 아시아 뉴스의 중심이다.”
Junhyup Kwon
Seoul, KR
뉴욕타임스 서울 홍콩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홍콩 지국의 일부 인력을 한국 서울로 옮긴다고 발표했다.

홍콩 국가보안법(보안법)이 이달부터 시행되면서 취재 활동에 제약이 생겼기 때문이다.

NYT는 14일(현지시간) 홍콩에서 취재하던 디지털 뉴스의 인력을 내년 중으로 서울로 이동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콩 직원의 3분의 1 정도가 해당된다. 홍콩 특파원 일부는 계속 남아 취재할 예정이지만 기자 대부분이 서울로 오게 된 셈이다.

광고

NYT 홍콩 직원들은 보안법의 영향으로 취업비자 발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문은 “이런 일을 중국에선 자주 겪었지만 홍콩에선 그렇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NYT의 데스크들은 보안법으로 중국의 장악력이 커지면서 새로운 보금자리가 필요했다고 전했다.

NYT의 국제뉴스의 보도와 운영을 책임지는 데스크와 임원들은 이날 직원에게 보낸 공지문을 통해 “보안법이 회사의 운영과 저널리즘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불확실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어 “만일에 대비해 기자들을 여러 지역에 두는 게 합리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홍콩 지국은 한마디로 NYT의 아시아 본사였다. 아시아 지역을 취재하는 기자들의 중심 근거지로서 아시아 뉴스를 모으는 곳이었다.

이뿐 아니라 최근에는 디지털 뉴스의 7일 24시간 운영에도 중추적인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의 데스크들이 퇴근하면 홍콩의 데스크들이 NYT에서 나오는 모든 디지털 콘텐츠를 책임지고 관리했다. 그만큼 NYT에 있어서 홍콩의 역할은 중요했다.

물론 홍콩 지국의 모든 인력이 빠지는 건 아니다. NYT 국제판의 인쇄·제작 부서가 홍콩에 있는데 이들은 홍콩에 잔류할 전망이다. 광고와 마케팅 부서 직원도 남을 예정이다.

데스크와 임원들은 공지문에서 “‘중국의 창구’로 홍콩 지국을 남겨두고 활용할 의향이 있다”며 “나아가 홍콩의 변화와 관련된 보도를 계속 늘려나갈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많은 기업이 지금까지 홍콩에 아시아 본사를 뒀다. 특히 영어권 언론사와 정보통신(IT) 기업, 은행, 금융 기업은 홍콩을 전략적으로 활용했다. 홍콩이 외국 기업에 개방적이고 지리적으로도 아시아의 중간에 위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영어가 잘 통하기도 해서다.

하지만 중국이 보안법으로 홍콩을 장악하면서 일부 기자들은 자신의 취재 활동과 표현의 자유가 제한받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중국은 지난 2월 중국 주재 월스트리트저널(WSJ)의 기자를 사실상 추방했다. 이 사건으로 미·중 갈등은 한층 고조됐다.

NYT 대변인은 이날 “홍콩은 수십년간 아시아에서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는 리더로서의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도 그런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NYT는 서울뿐 아니라 태국 방콕, 일본 도쿄, 싱가포르를 대안으로 고민했다. 서울을 택한 이유로는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신문은 “한국이 외국 기업에 우호적이고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면서 굵직한 몇몇 아시아 뉴스의 중심에 있어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Junhyup Kwon